모양에 따른 선의 종류
실선, 파선(숨어있는 선에 주로 사용), 1점쇄선, 2점쇄선 4가지로 표기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
가는선(치수선에 주로사용)
굵은선- 가는선의 2배정도 / 외형선
아주 굵은선(윤곽선이나 중심마크에서 사용) - 가는선의 4배정도
굵은 1점쇠선 - 특수지정선(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을 요구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버위를 표시하는데 사용한다,(고주파,담금질, 고체침탄 열처리등)
가는2점쇠선- 가상선, 무게중심선(참고로 표시한다), 공구의 위치 등을 표시, 스프링, 가공전과 가공후의 모야을 표시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좌측면도 / 배면도(뒷면)/ 저면도(바닥)
중심선은 1점쇠선 (중심지 십자가) 기준선
/ 보이지않는곳 파선 /
6면도
평면도 / 배면도/좌측면도/우측면도(배면도) /정면도/ 저면도 ( 정투상도의 입면도 위치)
실선이 많이 나오는 쪽으로 그리고 생략할 수 있는 부분도 생길 수 있음.
중복된 (치수)를 중복으로 사용하지 않음.
필요없는 도면은 도면을 삭제 가능.
도면의 갯수가 많을 필요는 없다,
치수등으로 인하여 표현 가능
도면 그리는 장수 규칙 확인
전투상에는 1각법과 3각법이있다. 우리나라는 3각법 사용
3각법
평면도
정면 / 우측면도
외국에서는 1각법도 많이사용
(우측면도와,좌측면도가 바뀜) 1각법, 또는 기호로도 표시
1각법과 3각법에서 바뀌지 않는 곳
등가투상도(3차원이 보통 등각투상도로 되어있음)
(수평선을 그었을떄 이어지느 ㄴ각이 30도)
부등각도
(각도가 서로 다를경우 부등각)
사투상도 : 정면도의 크기와 모양은 그대로 사용하고 평면도와 우측면도를 경사시켜 그리는 투상법을 사투방법이라 한다
캐비닛도와 카발리에도가 있다
투시도법 : 소점이 있다,.
.
댓글